코틀린 알고리즘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[Kotlin] 시간 복잡도(Time Complexity) Data Structures & Algorithms in Kotlin 예제 코드를 이용하여 시간 복잡도를 알아보자 ! * 시간 복잡도란 문제를 해결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입력의 함수 관계를 가리킨다. * 시간 복잡도는 주로 빅-오(Big-O) 표기법을 사용하며 나타낸다. 빅 오 표기법의 종류 O(1) O(n) O(log n) O(n2) O(2n) O(1) : 일정한 복잡도로, 입력값이 증가하더라도 시간이 늘어나지 않는다. O(n) : 선형 복잡도로, 입력값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도 같은 비율로 증가한다. O(log n) : 로그 복잡도로, O(1) 다음으로 빠른 시간 복잡도를 가진다. O(n2) : 2차 복잡도로, 입력값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이 n 제곱수 만큼 증가한다. O(2n) : 기하급수적 복잡도로, .. 이전 1 다음